문장 (상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장은 국가, 개인, 단체 등을 상징하는 시각적 표식이다. 서양에서는 십자군 전쟁을 계기로 기사들의 갑옷을 구별하기 위해 방패에 문양을 새긴 것이 기원이며, 왕족, 귀족, 기사 계급을 중심으로 사용되었다. 문장은 방패, 투구, 망토, 좌우명 등 다양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문장학이라는 규칙에 따라 디자인된다. 유럽 각국은 고유한 문장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국가, 왕실, 도시, 교회 등 다양한 종류의 문장이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가몬이라고 불리는 가족 문장이 사용되며, 서양의 문장과는 다른 독자적인 발전 과정을 거쳤다. 현대에는 국가, 기업, 단체 로고 등 다양한 형태로 문장이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장 (상징) - 기리몬
기리몬은 오동나무를 문양화한 일본의 가문 문장으로, 세 개의 꽃차례와 잎으로 구성되며 꽃의 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있고, 일본 정부 및 역사적 인물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나 국제적 인지도 부족으로 현재는 다른 상징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 문장 (상징) - 문장학
문장학은 개인, 가문, 단체를 식별하는 시각적 상징 체계로, 방패를 기본으로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며, 중세 시대 기사 계급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문장관에 의해 관리되는 규율로 자리 잡았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문장 (상징) | |
---|---|
개요 | |
사용 국가 | 스페인 |
구성 요소 | 방패 왕관 기둥 모토 문장 |
상세 정보 | |
방패 | 스페인의 국장은 복잡한 상징 체계를 담고 있으며, 스페인 왕국의 역사적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다양한 문장들을 포함하고 있다. |
왕관 | 방패 위에는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왕관이 놓여 있다. |
기둥 | 방패 양쪽에는 헤라클레스의 기둥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는 지브롤터 해협을 상징한다. 기둥에는 "Plus Ultra" (더 멀리)라는 라틴어 모토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스페인의 탐험 정신과 신대륙 발견을 기념하는 것이다. |
모토 | "Plus Ultra" (더 멀리) |
문장 | 스페인의 국장은 복잡한 상징 체계를 담고 있으며, 스페인 왕국의 역사적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다양한 문장들을 포함하고 있다. |
의미 | 스페인의 문장은 국가의 역사, 통일, 그리고 왕실의 권위를 상징한다. 각 구성 요소들은 스페인의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며, 국가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나타낸다. |
2. 문장의 발생과 형성
문장은 개인이나 집단을 식별하고 그들의 지위와 권위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발전했다. 서양과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발생하여 각기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다.
문장이 갖춰야 할 최소한의 요건은 개인 식별을 위해 완전히 동일한 도안의 문장이 2개 이상 존재해서는 안 되며, 대대로 계승된 실적을 가진 세습적인 것이어야 한다.[17]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는 문장은 유럽과 일본에만 존재하며,[18] 그 외의 것은 '엠블럼'이나 '인시그니아'로 구분되지만, 종종 문장과 혼동되기도 한다.
서양의 문장은 문양이 그려진 방패(에스카르숑)를 중심으로 다양한 장식 요소가 더해진 형태가 많으며, 이러한 외부 요소를 포함한 전체를 문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문장(coat of arms영어)은 방패만을 가리킨다.[19]
문장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었으나, 현재는 유럽 각지에서 사회 현상으로 발생하여, 전장에서 얼굴을 가린 개인을 식별하기 위해 방패에 문양을 그린 것이 기원이라고 여겨진다. 전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문장은 1010년에 기록이 남아 있는 독일 귀족의 것이라는 설이 있다. 문장 기술을 의미하는 블레이즌(Blazon)이 독일어로 "뿔피리를 불다"를 의미하는 블라존(blason)을 어원으로 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22]
개인이 좋아하는 문양을 그린 방패가 문장의 요건을 충족하게 되는 것은 11세기 또는 늦어도 12세기 중반으로 여겨진다.[22] 처음에는 왕족이 사용했지만, 점차 귀족, 기사, 시민 계급, 그리고 단체까지 문장을 사용하게 되었다.[23]
신성 로마 제국에서는 법학자 바르톨루스가 을 법체계화하여 권리 보호도 이루어졌으며, 이후 영국의 문장원(1484년 창설)과 같이 모든 문장을 관리하는 공적 기관이 창설되었다.
2. 1. 서양 문장의 기원
서양에서는 고대 국가 시기부터 국가나 국왕의 상징으로 문장이 사용되었다.[33] 중세 유럽에서는 십자군 원정을 계기로 문장이 본격적으로 발생, 보급되었다. 제1차 십자군 원정(1096-1099) 당시, 서유럽 기사들은 갑옷과 투구로 인해 서로를 식별하기 어려웠는데, 특히 투구는 전장에서 다른 사람을 식별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35]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패에 독특한 도안과 색채를 사용한 문장이 등장했다.[36]십자군 전쟁에서 비잔티움 제국 황제 알렉시오스 1세는 당시 교황 우르바노 2세에게 도움을 요청하였고, 교황은 서유럽 군주와 제후들에게 십자군 결성을 호소하였다. 문장은 기사 계급이 몰락한 이후에도 지위, 계급, 직위를 과시하는 형태로 변화하며 상류층, 대학, 조합 등 다양한 단체에서 사용되었다.[38]
14세기 이후 문장관(Officer of arms영어)이라는 직업이 생겨나 문장의 관리, 통괄, 기록, 분쟁 중재 등을 담당하면서 문장학(紋章學, heraldry영어)이라는 학문이 발전했다.
2. 2. 일본 가몬의 기원
일본의 문장인 가몬(家紋)은 7세기경부터 가족 문장으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 일본에서 사용된다. 일본의 전통은 유럽의 전통과는 별개이지만, 많은 추상적이고 꽃무늬 요소가 사용된다.가몬은 개인보다는 가족을 식별하는 것이며, 혼인 시에도 도안이 변하지 않고, 한 가계 전체에서 동일한 문양을 사용한다. 분가하는 경우에는 본가의 가몬에 약간의 차이를 두어 구별하며,[29] 배령문이나 가증문 형태로 가몬 자체가 변화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서양의 문장과 마찬가지로, 전혀 똑같은 가몬을 다른 가계가 사용하는 일은 없다. 서양의 문장은 문장 기술을 통해 도안이 정해지는 반면, 가몬은 치밀한 기하학적 문양으로 도안이 정해진다. 따라서 아주 조금이라도 도안에 차이가 있으면 다른 가몬으로 간주된다는 점이, 묘사에 비교적 자유도가 있는 서양의 문장과 다르다. 이러한 정의 방법의 차이로 인해, 겉으로는 전혀 똑같은 가몬처럼 보여도 가몬의 명칭과 사용하는 가계가 다른 경우가 있다.[25] 그러나 서양의 문장처럼 가몬을 엄격하게 관리·통괄하는 기관은 없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몬 제도가 법적으로 보호받는 공적인 제도로 정착되지 않은 점이 일본에서 무엇을 문장으로 할 것인가에 대한 정의를 어렵게 한다.[30]
이처럼 계승의 실적이 있고 가계가 다르면 가몬도 다르기 때문에 일본의 가몬도 문장의 일종으로 간주할 수 있다. 서양의 문장과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으며, 둘 다 11세기경에 발상하였지만 서로 전혀 영향을 주고받지 않았다.[31]
3. 문장의 종류
문장은 사용자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뉜다. 서양에서는 고대 국가 시기부터 국가나 국왕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33] 십자군 원정을 계기로 유럽에서 본격적으로 발전, 보급되었다.[34] 초기에는 왕족, 귀족, 기사 계급만 사용했으나 점차 상류층, 대학, 조합 등으로 사용 범위가 넓어졌다.[38] 14세기 이후에는 문장관(Officer of arms|오피서 오브 암스영어)이라는 전문 직업이 생겨나 문장을 관리, 통괄하고 문장 관련 분쟁을 중재하는 역할을 담당했다.[39] 문장관의 등장으로 문장 구성 방법이 체계화되면서 문장학(紋章學, heraldry|해럴드리영어)이라는 학문도 등장했다.
문장은 원래 전투에서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방패에 그려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36] 서양에서는 문장을 coat of arms|코트 오브 암스영어라고 부르며, 문장이 그려진 방패를 Shield of arms|실드 오브 암스영어라고 부른다.[37]
문장 디자인은 12세기 유럽 귀족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체계적이고 상속 가능한 문장학은 13세기 초에 발달했다. 법이나 사회적 관습에 따라 문장을 사용할 권리는 국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초기 문장 디자인은 개인적이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디자인을 변경하기도 했다. 문장은 12세기 말에 상속되기 시작했다.[2][3]
문장은 기치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현대 기업의 로고와 비교되기도 한다.[8]
문장의 정의에는 여러 설이 있지만, 개인을 식별할 수 있도록 동일한 도안이 2개 이상 존재해서는 안 되며, 대대로 계승된 실적을 가진 세습적인 것이어야 한다는 두 가지 요건을 갖춰야 한다.[17]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문장은 유럽과 일본에만 존재하며,[18] 그 외의 것은 '표시'로 번역되는 '엠블럼'이나 '인시그니아'로 구분된다.
유럽에서 발상한 서양 문장은 문양이 그려진 방패(에스카르숑)를 중심으로 다양한 장식이 더해진 형태가 많으며, 이러한 외부 요소를 포함한 전체를 문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면 문장(코트 오브 암즈)은 방패만을 가리킨다.[19]
3. 1. 서양 문장의 종류
십자군 이후 본격화된 문장은 본래 왕족, 귀족, 기사 계급만이 사용했으나, 근대에 들어 사용자Armiger|(아미저)영어의 계급 범위가 넓어졌다.[40]- 국가 문장
- 왕실 문장
- 도시 문장
- 교회 문장
- * 성직자 문장
- 학교 문장
- 조합 문장
- 단체 문장
이 외에도 영주 문장, 특별 가문 세습 문장, 결혼으로 이루어진 문장, 계승된 신분을 나타내는 가문 및 개인 문장 등이 있었다.[41]
시민 문장은 14세기 후반 북부 이탈리아에서 사용되었으며, 신성 로마 제국에서는 14세기 중반에 사용되었다. 중세 후기에는 문장의 사용이 성직자, 도시의 시민 식별자, 대학교 및 무역 회사와 같은 왕실 특허 단체로 확산되었다.
3. 2. 일본 가몬의 종류
일본에서 문장에 해당하는 것은 특히 '''가몬'''이라고 불린다. 가몬은 개인보다는 가족을 식별하는 것이며, 혼인 시에도 도안이 변하지 않고 한 가족뿐만 아니라 가계 전체에서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분가하는 경우에는 본가의 가몬과 약간의 차이를 두어 구별한다.[29] 가몬 자체가 변화하는 경우는 드물다. 서양 문장의 크레스트와 매우 유사하여 영어로는 "Kamon"이나 "Mon" 외에도, Japanese Crest나 Family Crest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종류 | 설명 |
---|---|
황실 가몬 (국화 문장) | 일본 황실을 상징하는 문장으로, 서양 문장으로 형상화되기도 한다. |
무가 가몬 | 무사 가문에서 사용되는 가몬으로, 칼, 활, 깃발 등 무(武)와 관련된 문양이 많다. |
공가 가몬 | 귀족 가문에서 사용되는 가몬으로, 꽃, 새, 구름 등 우아한 문양이 많다. |
사찰 가몬 | 사찰에서 사용되는 가몬으로, 불교와 관련된 문양이 많다. |
상인 가몬 | 상인 가문에서 사용되는 가몬으로, 돈, 저울, 배 등 상업과 관련된 문양이 많다. |
다른 가계가 전혀 똑같은 가몬을 사용하는 일은 없다. 서양의 문장이 문장 기술로 도안이 정해지는 것과 달리, 가몬은 치밀한 기하학적 문양으로 도안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아주 조금이라도 도안에 차이가 있으면 다른 가몬으로 간주된다는 점이 묘사에 비교적 자유도가 있는 서양의 문장과 다르다. 겉으로는 똑같은 가몬처럼 보여도 가몬의 명칭도 가몬을 사용하는 가계도 다르다는 경우가 있다.[25]
그러나 서양의 문장처럼 가몬을 엄격하게 관리·통괄하는 기관은 없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몬 제도가 법적으로 보호받는 공적인 제도로 정착되지 않은 점이 일본에서 무엇을 문장으로 할 것인가의 정의를 어렵게 한다.[30]
이처럼 계승의 실적이 있고, 가계가 다르면 가몬도 다르기 때문에 일본의 가몬도 문장의 일종으로 간주할 수 있다. 서양의 문장과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으며, 둘 다 11세기경에 발상했지만, 서로 전혀 영향을 주고받지 않았다.[31]
4. 문장의 구성
서양에서는 이미 고대 국가 시기에 국가나 국왕의 상징으로 문장이 사용되었다.[33] 중세 유럽에서는 십자군 원정을 계기로 문장이 본격적으로 발생, 보급되었다. 십자군 원정 외에도 왕족이나 귀족들의 인장 사용이나 기사들의 토너먼트에서 사용된 것[34] 등 여러 발전 요인이 있었다. 십자군 원정은 튀르크족의 침공에 위협을 느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알렉시오스 1세의 군사 원조 요청으로 시작되었다. 당시 로마 교황 우르바노 2세는 서유럽의 군주, 제후들에게 십자군을 결성하여 제국을 구하고 성지 예루살렘을 이교도로부터 해방시킬 것을 호소하였고, 교황의 호소에 따라 십자군 원정군이 형성되게 되었다. (제1차 십자군영어)
1차 십자군 원정에 참가한 서유럽 기사들은 모두 회백색 갑옷으로 신체를 감싸고 얼굴을 투구로 덮어, 적군과 아군을 구별하기 어려웠다. 특히 투구는 전장에서 다른 사람을 식별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35]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독특한 도안과 색채로 만든 기나 군기, 문장이 등장하여 개인과 군대, 국가를 구별하는 표식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문장은 기사의 생명과도 같은 방패 표면에 장식되었다.[36] 서양에서는 문장을 coat of arms|코트 오브 암스영어라고 부르며, 문장을 나타낸 방패를 Shield of arms|실드 오브 암스영어라고 하였다. 방패 모양은 시대에 따라 변화를 겪고 점차 장식적으로 변했지만 보통 간단한 모양이었다.[37]
이후 문장은 왕족이나 귀족뿐 아니라 상류층, 대학, 조합 등 다른 단체에서도 사용하게 되었다.[38] 문장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14세기 이후에는 문장관(Officer of arms영어)이라는 직업이 생겨났다. 문장관은 왕이나 귀족의 직속 관리로 고용되어 문장의 관리, 통괄, 기록뿐 아니라 문장 위반, 문장 다툼의 중재 및 처벌까지 위탁받았다.[39] 문장관의 등장으로 문장 구성 방법이 체계화되면서, 문장과 문장을 가진 가문의 역사를 연구하는 문장학(紋章學, heraldry영어)이라는 학문도 나타났다. 기사 계급이 몰락한 이후 문장은 지위, 계급, 직위를 과시할 수 있는 부속물을 덧붙여 화려한 형태로 변화하였다.
문장 디자인은 12세기 유럽 귀족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체계적이고 상속 가능한 문장학은 13세기 초에 발달했다. 법이나 사회적 관습에 따라 누가 문장을 사용할 권리가 있는지 여부는 국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초기 문장 디자인은 개인적이었으며, 개별 귀족들이 사용했다(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택한 디자인을 변경하기도 했다). 문장은 12세기 말에 상속되기 시작했으며, 잉글랜드에서는 제3차 십자군(1189–1192) 기간 동안 리처드 1세 국왕에 의해 시작되었다.[2][3]
시민 문장은 14세기 후반 북부 이탈리아에서 사용되었으며, 신성 로마 제국에서는 14세기 중반에 사용되었다. 중세 후기에는 문장의 사용이 성직자, 도시의 시민 식별자, 대학교 및 무역 회사와 같은 왕실 특허 단체로 확산되었다. 기치학과 문장학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문장"이라는 용어 자체는 원래 전투원, 특히 기사 토너먼트에서 착용했던 문장 디자인이 들어간 슈르코트를 가리키는 것으로, 옛 프랑스어 ''cote a armerang''에서 유래했다. 이 의미는 14세기 중반 중세 영어로 문장 디자인 자체로 전이되었다.[4]
문장학은 전통만으로 문장의 디자인과 사용을 규제해 온 유럽 전역에서 일관성을 유지해 왔다.[5]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와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수세기 동안 문장을 부여하고 규제해 왔으며 오늘날까지도 이를 계속하고 있는 동일한 문장 당국을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잉글랜드에서는 문장의 부여가 문장원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 봉인 및 기타 일반적인 상징과 달리, 문장 "업적"에는 문장 설명이라고 하는 공식적인 설명이 있으며, 문장 묘사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어휘를 사용한다. 오늘날에도 문장은 다양한 기관과 개인에 의해 계속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유럽의 도시와 대학교는 문장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고유 식별자와 마찬가지로 상표로 사용을 보호하고 있다.[6][7]
문장학은 현대 기업의 로고와 비교되어 왔다.[8] 문장의 정의에는 여러 설이 있지만, 대략 문장이 갖춰야 할 최소한의 요건은 개인을 식별할 수 있도록 완전히 동일한 도안의 문장이 2개 이상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과 대대로 계승된 실적을 가진 세습적인 것이라는 두 가지이다.[17] 엄밀한 의미에서 문장이라고 부를 수 있는 요건을 충족하는 것은 유럽과 일본에만 존재한다.[18]
서양의 문장은 기하학적으로 정확한 것보다 인식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문장 기술의 내용과 암묵적인 규칙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문장을 그릴 때 해석이나 묘사 방법에 상당한 자유도가 있다.[25]
4. 1. 서양 문장의 구성 요소
- 표어(Slogan|슬로건영어)는 스코틀랜드 문장에서 유래되었으며, 보통 제2의 좌우명(Motto|모토영어)으로 사용된다.
- 투구장식(Crest|크레스트영어)은 방패형 문장의 꼭대기 장식을 가리키는데[42], 모든 문장에 항상 투구장식이 있는 것은 아니다.
- 화환(Torse|토르스영어 Wreath|리드영어)은 투구장식을 받치기 위해 삽입되며, 투구 맨꼭대기에 위치한다. 보통은 기본색이나 금속으로 꾸며져 있다. 보통 화환이 문장에 들어갈 경우 문장의 뒤편으로 늘어뜨려진 망토(Mantling|맨틀링영어)를 같이 삽입한다.[43]
- 투구(Helmet|헬멧영어)는 기사 시대의 영향으로 삽입하게 되었으며, 문장을 사용하는 사람의 지위나 시대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가 있다.
- 왕관(Crown|크라운영어)은 보통 왕족들의 문장에 들어간다.
- 방패(Escutcheon|이스커천영어)는 문장의 기본요소로, 각종 무늬와 색채가 들어간다.
- 훈장(Order|오더영어)은 국가, 군주, 왕족, 단체 등이 수여자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수여한 명예를 나타내는 문양이다.
- 좌우명은 문장의 제명을 말하며 보통 스크롤(Scroll)이라는 리본에 써넣는다.
- 방패잡이(Supporters|서포터스영어)는 문장의 방패 양 옆에 서는 한 쌍의 부속물(보통 동식물)을 가리킨다.
- 지반(Compartment|컴파트먼트영어)은 방패잡이를 삽입할 경우 그 아래에 위치하며, 보통 바위나 산을 넣는다.
4. 2. 일본 가몬의 구성 요소
가몬은 주로 단일 문양으로 구성되지만, 여러 문양을 조합하거나 테두리, 배경 등을 추가하는 경우도 있다. 가몬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명칭 | 설명 |
---|---|
마루(円) | 원형 테두리 |
카쿠(角) | 각진 테두리 |
와쿠(枠) | 특정 모양의 테두리 |
카사네(重ね) | 문양을 겹치는 기법 |
카코미(囲み) | 문양을 둘러싸는 기법 |
보카시(暈かし) | 색의 농담을 표현하는 기법 |
5. 문장의 지역적 특징
미국 국새는 정면 중앙 모티프로 국가의 문장을 사용한다.[12] 1782년 6월 20일 대륙 회의에서 채택되었으며, 13개의 조각으로 나뉜 방패와 파란색 수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미국 흰머리수리의 가슴에 표시되어 있으며, 문장 꼭대기에는 헬멧, 토르스 또는 망토 없이 영광과 구름을 뚫고 나오는 13개의 별이 있다. 많은 미국 주에서 자신의 문장을 채택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해당 주의 인장의 일부로 디자인되었다. 버몬트주에는 주 국새와 주 문장이 모두 있는데, 두 곳 모두 소나무, 소, 곡식 다발을 포함하고 있다. 국새는 문서의 인증에 사용되는 반면, 문장은 주 자체를 나타낸다.
엄밀한 의미에서 문장이라고 부를 수 있는 요건을 충족하는 것은 유럽과 일본에만 존재한다.[18] 유럽에서 발상한 서양의 문장은 문양이 그려진 방패(에스카르숑)를 중심으로 다양한 액세서리가 더해진 형태가 많으며, 이러한 외부 요소를 포함한 전체를 문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서포터를 비롯한 액세서리는 문장 발상 이후 상당한 기간이 지나 추가되었으며, 엄밀히 말하면 문장(코트 오브 암즈)은 방패만을 가리킨다.[19]
동일한 도안의 문장이 2개 이상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동시기 동일 주권 영토 내에 한정되며, 선대 당주가 사망하여 장남에게 문장이 상속될 때 새로운 당주는 선대의 것과 완전히 동일한 문장을 사용한다. 국왕이나 영주 등의 주권이 미치는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에는 동일한 문장이 존재해도 되며, 실제로 여러 국가에 걸쳐 같은 문장이 존재하는 예가 많다.[20]
개인 및 가문을 나타내는 문장은 분가나 입양 등으로 변화할 수 있지만, 특정 시기에 갑자기 완전히 다른 문장으로 바뀌거나, 형제 간에 전혀 다른 문장이 사용되는 일은 없다.
일본에서 문장에 해당하는 것은 '''가몬'''이라고 불린다. 가몬은 서양의 문장과 유사점과 차이점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11세기경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발생했다.[31]
5. 1. 유럽
문장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제기되었다. 고대 그리스나 고대 로마의 군사용 또는 가계 문장에서 기원했다는 설, 기원 1000년 이전 게르만-스칸디나비아의 추상 체계가 영향을 미쳤다는 설, 제1차 십자군 당시 서유럽인이 이슬람 세계의 관습을 참고했다는 동방 기원설 등이 있었다.[21] 그러나 이러한 설들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부정되었다.[21] 현재는 유럽 각지에서 사슬 갑옷과 투구로 얼굴을 가린 개인을 식별하기 위해 방패에 문양을 그린 것이 기원이라고 여겨진다.
전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문장은 1010년에 기록이 남아 있는 독일 귀족의 것이라는 설이 있으며, 문장 기술을 의미하는 블레이즌(Blazon)이 독일어로 "뿔피리를 불다"를 의미하는 블라존(blason)을 어원으로 하고, 프랑스어로 "문장학 혹은 문장"을 의미하는 블라존(Blason)을 거쳐 영어에 도입된 것은, 독일의 문장이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22]
11세기 또는 늦어도 12세기 중반(11세기~12세기)에 각 개인이 좋아하는 문양을 그린 방패가 문장의 요건을 충족하게 되었다.[22]
처음에는 문장이 왕족이 사용했지만, 13세기 중반까지 하위 귀족이나 기사도 사용하게 되었다. 이후 문장의 사용은 시민 계급, 상인, 일반 시민, 농민 계급으로까지 퍼져나갔다.[23] 도시나 기사단 등의 단체도 문장을 채택했으며, 유럽 국가뿐만 아니라 식민지였던 나라에도 도입되어 국장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문장을 갖고 싶어하는 사람은 누구나 새롭게 자신의 문장을 창작할 수 있었지만, 영주 이외의 개인 문장은 대개 영주의 문장을 기본으로 하였다.[23] 그러나, 마음대로 창작할 수 있다는 것은 문장의 원칙에 반하여 중복된 문장을 다수 만들어내게 되었고, 누가 가장 역사 있는 문장 사용자인지에 대해 쟁의가 일어나는 경우도 있었다. 1132년에 나타났던 문장관은 특정 구역 내에 존재하는 문장의 조사와 수집을 14세기부터 시작했다.[23] 신성 로마 제국에서는 법학자 바르톨루스가 문장법을 법체계화하여 권리 보호도 이루어졌다.
이후 영국의 문장원(1484년 창설)과 같이 모든 문장을 관리하는 공적 기관이 창설되었다.
문장이 전 유럽에 급속히 보급된 이유로는 1096년부터 1270년까지 8회에 걸쳐 실시된 십자군 원정과[21] 12세기경에 매우 인기가 있었던[23] 마상 창 시합(토너먼트)에서 개인을 식별하기 위해 필요했던 점이 꼽힌다.[24]
잉글랜드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장은 앙주 백작 조프루아 4세의 것으로, 에나멜 세공(칠보)으로 만들어진 묘비에는 6마리의 금색 사자를 배치한 파란색 방패와 검을 든 조프루아 4세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26]
바티칸 시국과 성좌는 각각 자체적인 문장을 가지고 있다. 교황들은 자신의 개인 문장과 직무 문장을 함께 사용한다. 일부 교황들은 문장을 사용할 수 있는 가문 출신이었고, 다른 교황들은 교회 경력 동안 문장을 채택했다.[13]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큰 문자 M(성모 마리아)을 선택하여 그의 강력한 마리아 신심을 표현했다.[14]
5. 1. 1. 프랑스
프랑스 문장 체계는 서유럽과 영국의 문장 체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많은 용어와 분류가 프랑스에서 유래되었다. 프랑스 군주정이 몰락하고 이후 제국이 들어서면서, 현재는 문장학 법을 엄격하게 시행할 권한(''Fons Honorum'')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후 프랑스 공화국들은 기존의 작위와 명예를 인정하거나 귀족 특권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해왔다.프랑스에서 문장은 가족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적 재산으로 간주된다. 자칭 문장(권한에 의해 부여된 것이 아닌 소유자가 직접 만들고 사용하는 문장)은 이전 소유자의 문장을 법원에서 복사한 것으로 증명되지 않는 한 유효한 것으로 인정된다.[25]
5. 1. 2. 영국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문장학 전통에서 문장은 가문이 아닌 개인에게 부여되었다. 이러한 전통에서 문장은 아버지에서 아들로 전해지는 법적 재산이다.[6] 아내와 딸도 문장의 현 소유자와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수정된 문장을 사용할 수 있었다.[6] 구분되지 않은 문장은 주어진 시점에 한 사람만 사용할 수 있다.[6] 원래 문장 사용자의 다른 후손들은 조상의 문장에 어떤 계승 표시를 추가해서 사용할 수 있었다.[6] 일반적으로 색상 변경 또는 구별되는 문장의 추가가 이루어졌다.[6] 그러한 문장 중 하나가 레이블인데, 영국에서는 (왕실을 제외하고) 현재 항상 상속인 또는 (스코틀랜드에서) 추정 상속인의 표시이다.[6] 특히 법적 문서의 인장에서의 식별 중요성 때문에 문장의 사용은 엄격하게 규제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이를 유지하는 국가는 거의 없다.[6] 이는 문장관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따라서 문장에 대한 연구를 "문장학"이라고 한다.[6]스코틀랜드에서는 군주 문장관이 문장의 사용을 통제할 수 있는 형사 관할권을 가지고 있다. 잉글랜드, 북아일랜드, 웨일스에서 문장의 사용은 민사법의 문제이며, 문장 대학과 기사도 고등 법원에 의해 규제된다.
잉글랜드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장은 앙주 백작 조프루아 4세의 것으로 여겨진다. 에나멜 세공(칠보)으로 만들어진 묘비에는, 6마리의 금색 사자를 배치한 파란색 방패와 검을 든 조프루아 4세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 방패는 조프루아 4세의 아내인 마틸다의 아버지인 잉글랜드 왕헨리 1세로부터 받은 것이라고 여겨진다[26]. 사진 속 사자는 붉은색으로 변색되었지만, 이는 금이 오랜 시간에 걸쳐 산화된 것이다.
조프루아 4세의 아들이자 플랜태저넷 왕조를 연 헨리 2세가 문장을 사용했다는 증거는 남아 있지 않지만, 그의 서자(庶子)인 솔즈베리 백작 윌리엄 롱스페(William Longespée)가 6마리의 사자 방패를 계승했고, 사망 후 롱스페의 딸 아딜라에게 계승되었다. 헨리 2세에서 한 대 건너뛰었지만, 이것이 3대에 걸친 문장 계승의 실적이 되었고, 윌리엄 롱스페가 잉글랜드 최초의 문장 사용자로 여겨진다[27].
색슨 왕조의 에드워드 참회왕의 것으로 여겨지는 방패에 그려진 "표시"는 파란색 바탕에 십자 주위에 5마리의 새(아마 비둘기로 여겨짐)가 그려진 것이었다. 이를 1세기 이상 지난 후에 리처드 2세가 자신의 문장에 통합했지만, 참회왕이 그 "표시"를 사용했다는 증거는 없고, 상당히 시대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이 방패는 문장으로 간주되지 않는다[28].
5. 1. 3. 아일랜드
아일랜드에서 문장의 사용과 부여는 1552년 관청이 설립된 이후 얼스터 문장관에 의해 엄격하게 규제되었다. 1922년 아일랜드 독립 이후에도 이 관청은 더블린 성에서 운영되었다. 마지막 얼스터 문장관은 네빌 로드웰 윌킨슨 경([얼스터 문장관 1908–1940])으로, 1940년 사망할 때까지 재임했다. 아일랜드 정부의 요청에 따라 새로운 문장관은 임명되지 않았다. 얼스터 문장관 부관이었던 토마스 율릭 세들리어가 얼스터 문장관 대행이 되었다. 그는 1943년 이 관청이 노로이 문장관과 통합될 때까지 재임했으며, 1944년까지 남아 미결 사항을 정리했다.[26]1943년 4월 1일부터 권한은 아일랜드 공화국과 북아일랜드로 분할되었다. 아일랜드 공화국의 문장학은 아일랜드 정부에 의해 아일랜드 계보 사무소를 통해 아일랜드 수석 문장관 관청에서 규제된다. 북아일랜드의 문장학은 영국 정부에 의해 문장 대학을 통해 노로이 및 얼스터 문장관이 규제한다.
5. 1. 4. 독일
현대 및 역사적 독일과 신성 로마 제국의 문장 전통과 양식은 국가 및 시민 문장, 귀족 및 시민 문장, 교회 문장, 문장 디스플레이 및 문장 설명을 포함하며, 북유럽 국가 문장학의 양식과 관습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9]
전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문장은 1010년에 기록이 남아 있는 독일 귀족의 것이라는 설이 있다. 문장 기술을 의미하는 블레이즌(Blazon)은 독일어로 "뿔피리를 불다"를 의미하는 블라존(blason)을 어원으로 하고, 프랑스어로 "문장학 혹은 문장"을 의미하는 블라존(Blason)을 거쳐 영어에 도입되었다. 이는 독일의 문장이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22]
신성 로마 제국에서는 법학자 바르톨루스가 문장법을 법체계화하여 권리 보호도 이루어졌다.
5. 1. 5. 스칸디나비아
북유럽 국가에서는 지방, 지역, 도시, 자치구에서 문장을 사용한다. 이러한 문장들은 경계선과 공식 사무실이 있는 건물에 게시되며, 공식 문서 및 자치구 공무원의 유니폼에도 사용된다. 또한 자치 의회의 허가를 받으면 기념품이나 기타 물품에도 문장을 사용할 수 있다.[21]5. 2. 아메리카
미국 국새는 정면 중앙 모티프로 국가의 문장을 사용한다.[12] 이 국새와 문장은 1782년 6월 20일 대륙 회의에서 채택되었으며, 13개의 조각으로 나뉜 방패와 파란색 수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미국 흰머리수리의 가슴에 표시되어 있으며, 문장 꼭대기에는 헬멧, 토르스 또는 망토 없이 영광과 구름을 뚫고 나오는 13개의 별이 있다. 많은 미국 주에서 자신의 문장을 채택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해당 주의 인장의 일부로 디자인되었다. 버몬트주에는 주 국새와 주 문장이 모두 있는데, 두 곳 모두 소나무, 소, 곡식 다발을 포함하고 있다. 국새는 문서의 인증에 사용되는 반면, 문장은 주 자체를 나타낸다.
5. 2. 1. 캐나다
캐나다 군주로부터 캐나다 총독에게 문장 수여 특권이 위임되었다. 캐나다는 자체적으로 문장관장과 문장관을 두고 있다. 캐나다 문장국은 리도 홀에 있으며, 캐나다의 문장을 제작하고 캐나다 문장학을 장려하는 정부 기관이다.[10][11]5. 2. 2. 미국
미국 국새는 정면 중앙 모티프로 국가의 문장으로 묘사된 문장을 사용한다.[12] 이 국새와 문장은 1782년 6월 20일 대륙 회의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13개의 조각으로 나뉜 방패와 파란색 수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미국 흰머리수리의 가슴에 표시되어 있다. 문장 꼭대기에는 헬멧, 토르스 또는 망토 없이 영광과 구름을 뚫고 나오는 13개의 별이 있다. 많은 미국 주에서 자신의 문장을 채택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해당 주의 인장의 일부로 디자인되었다. 버몬트주에는 서로 독립적인 주 국새와 주 문장이 모두 있다(두 곳 모두 소나무, 소, 곡식 다발을 포함하고 있음). 국새는 문서의 인증에 사용되는 반면, 문장은 주 자체를 나타낸다.
5. 3. 아시아
일본에서 문장에 해당하는 것은 특히 '''가몬'''이라고 불린다. 가몬은 서양의 문장과 유사점과 차이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 기원적으로는 11세기경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발생했다.[31]5. 3. 1. 일본
일본의 문장인 '가몬(家紋)'(종종 "몬"으로 축약됨)은 7세기부터 가족 문장으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 일본에서 사용된다. 일본의 전통은 유럽의 전통과는 별개이지만, 많은 추상적이고 꽃무늬 요소가 사용된다.
가몬은 개인보다는 가족을 식별하는 것이며, 혼인에서는 도안이 변하지 않고 한 가족뿐만 아니라 가계 전체에서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분가하는 경우에는 본가의 가몬에 약간의 차이를 두어 구별한다.[29] 또한, 배령문이나 가증문이라는 형태로 가몬 자체가 변화하는 경우가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매우 드물다. 서양 문장의 크레스트는 가족 전체가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가몬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영어로는 "Kamon"이나 "Mon" 외에도, Japanese Crest나 Family Crest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전혀 똑같은 가몬을 다른 가계가 사용하는 일이 없는 것은 서양의 문장과 마찬가지이다. 서양의 문장이 문장 기술이라는 문장으로 그 도안이 정해지는 것에 반해, 가몬은 치밀한 기하학적 문양으로 도안이 정해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주 조금이라도 도안에 차이가 있으면 다른 가몬으로 간주된다는 점이 묘사에 비교적 자유도가 있는 서양의 문장과 다르다. 이러한 정의 방법의 차이로 인해, 겉으로는 전혀 똑같은 가몬처럼 보여도 가몬의 명칭도 가몬을 사용하는 가계도 다르다는 경우가 있다.[25] 그렇지만, 서양의 문장처럼 가몬을 엄격하게 관리·통괄하는 기관은 없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몬의 제도가 법적으로 보호받는 공적인 제도로서 정착되지 않은 점이 일본에서 무엇을 문장으로 할 것인가의 정의를 어렵게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30]
이처럼 계승의 실적이 있고, 가계가 다르면 가몬도 다르기 때문에 일본의 가몬도 문장의 일종으로 간주할 수 있다. 서양의 문장과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으며, 둘 다 11세기경에 발상한 것이지만, 서로 전혀 영향을 주고받지 않았다.[31]
6. 현대의 문장
현대 사회에서 문장은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서양에서는 중세 시대 십자군 원정을 계기로 문장이 발생하여 널리 보급되었다. 십자군 원정은 튀르크족의 침공에 위협을 느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알렉시오스 1세가 교황 우르바노 2세에게 군사 원조를 요청하면서 시작되었다. 교황은 십자군을 결성하여 예루살렘을 이교도로부터 해방시킬 것을 호소하였고, 이에 따라 십자군 원정군이 형성되었다.( 제1차 십자군)
1차 십자군 원정에 참가한 서유럽 기사들은 회백색 갑옷과 투구로 인해 적군과 아군을 구별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독특한 도안과 색채를 사용한 기나 군기, 문장이 등장하여 개인, 군대, 국가를 구별하는 표식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문장은 방패 표면에 장식되었으며, 이 때문에 서양에서는 문장을 coat of arms|(코트 오브 암스)영어, 문장을 나타낸 방패를 Shield of arms|(실드 오브 암스)영어라고 불렀다.[36]
이후 문장은 왕족, 귀족뿐만 아니라 상류층, 대학, 조합 등 다양한 단체에서도 사용하게 되었다.[38] 14세기 이후에는 문장관(Officer of arms영어)이라는 직업이 생겨나 문장을 관리, 통괄, 기록하고 문장 위반 및 분쟁을 중재, 처벌하는 역할을 담당했다.[39] 문장관의 등장으로 문장학(heraldry영어)이라는 학문도 나타났다. 기사 계급이 몰락한 후 문장은 지위, 계급, 직위를 과시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6. 1. 국가 문장
많은 국가에서 문장은 국가의 상징으로 사용되며, 국가의 역사, 문화, 정체성을 반영한다. 덴마크, 산마리노, 스위스와 같이 수 세기 이상 헌법적 연속성을 가진 유럽 국가에서 일반적으로 유지되었다.[16][17][18][19][20]6. 2. 기업 및 단체 로고
문장은 기업, 단체 등의 로고로 활용되어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고 식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현대 기업의 로고는 문장학과 유사한 방식으로 디자인되고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8] 오늘날에도 문장은 다양한 기관과 개인에 의해 계속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단체들이 개인 문장의 디자인 및 등록을 지원하고 있다.[6]6. 3. 사회주의 문장
소련의 문장과 바르샤바 조약 국가들이 채택한 문장과 유사한 양식이 공산주의 정권 국가들에서 채택되었으나, 체코슬로바키아와 폴란드는 예외였다. 1986년부터 1989년 이후, 러시아 등 일부 구 공산 국가들은 공산주의 이전 문장을 재사용하며 군주 상징을 제거하기도 했다. 벨라루스 등은 공산주의 문장을 유지하거나 일부 요소를 남겼다.[15]6. 4. 아프리카 국가 문장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국기와 상징은 탈식민지화 이후 지역 전통이나 야생 동물을 기반으로 한 상징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베냉, 말라위, 소말리아, 콩고 민주 공화국의 문장, 그리고 가봉의 흑표범 형태와 같이 현지 관습에 따라 의례적 의미를 갖는 상징이 일반적으로 선호되었다.[15]케냐에서는 스와힐리어 단어 하람베 (문자 그대로 "함께하자")가 국가 문장의 모토로 사용된다. 한편, 보츠와나와 레소토에서는 풀라 (문자 그대로 "비")라는 단어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된다.
에스와티니의 국장에는 사자와 코끼리가 지지자로 사용된다. 각자는 국가의 공동 원수인 국왕과 왕대비를 각각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6. 5. 종교 문장
바티칸 시국과 성좌는 각각 자체적인 문장을 가지고 있다. 교황직은 세습되지 않으므로, 교황들은 자신의 개인 문장과 직무 문장을 함께 사용한다. 일부 교황들은 문장을 사용할 수 있는 귀족 가문 출신이었고, 다른 교황들은 교회 경력 동안 문장을 채택했다. 후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자신의 이상이나 특정 교황의 프로그램을 암시한다.[13]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문장은 널리 알려진 예시이다. 그는 큰 문자 M(성모 마리아)을 선택하여 그의 강력한 마리아 신심을 드러내고자 했다.[14]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 또한 각각 문장을 부여받으며, 바실리카나 교황 교회도 문장을 갖는데, 후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건물에 문장을 전시한다. 이러한 문장은 그렇지 않은 국가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스코틀랜드와 같이 강력한 법적 문장 권한이 있는 국가에서는 문장을 공식적으로 부여받아 기록해야 한다.
참조
[1]
서적
Visual Branding: A Rhetorical and Historical Analysis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16-12-30
[2]
웹사이트
Baron fon Bury's Grave in Ugāle hillfort
https://www.redzet.e[...]
2020-05-22
[3]
학술지
International Heraldry
http://www.internati[...]
[4]
웹사이트
coat of arms {{!}} Etymology of phrase coat of arms
https://www.etymonli[...]
[5]
서적
A New dictionary of heraldry
https://archive.org/[...]
Alphabooks
1987
[6]
학술지
The role of corporate identity in the higher education sector
http://www.emeraldin[...]
Emerald Insight
2015-08-26
[7]
웹사이트
Policy on use of the Workmark and Insignia of McGill University
https://www.mcgill.c[...]
McGill
2015-08-26
[8]
학술지
Group Identity Formation in the German Renaissance
http://www.phil-hum-[...]
2015-08-26
[9]
서적
Heraldry: Customs, Rules and Styles
Blandford Press
1981
[10]
웹사이트
The History of Heraldry in Canada
http://www.heraldry.[...]
Royal Heraldry Society of Canada
2008-08-21
[11]
웹사이트
Contact Us
https://www.gg.ca/do[...]
Canadian Heraldic Authority
2015-08-26
[12]
웹사이트
The Great Seal of the United States
https://2009-2017.st[...]
Bureau of Global Public Affairs
2015-08-26
[13]
웹사이트
Coat of arms of His Holiness Benedict XVI
https://w2.vatican.v[...]
2015-08-26
[14]
웹사이트
Pontifical Insigna Flag, Coat of Arms and Seal of the Holy See and of the State of Vatican City
https://www.vatican.[...]
2015-08-27
[15]
웹사이트
Coat of Arms (Eagle of Saladin)
http://macaulay.cuny[...]
Macaulay Honors College
2015-08-19
[16]
문서
紋章の歴史
[17]
문서
紋章学入門
[18]
문서
紋章学入門
[19]
문서
紋章学入門
[20]
문서
紋章学入門
[21]
문서
紋章の歴史
[22]
문서
紋章学入門
[23]
문서
中世の紋章
[24]
문서
紋章学入門
[25]
문서
ヨーロッパの紋章・日本の紋章
[26]
문서
紋章の歴史
[27]
문서
紋章学入門
[28]
문서
紋章学入門
[29]
문서
ヨーロッパの紋章・日本の紋章
[30]
문서
ヨーロッパの紋章・日本の紋章
[31]
문서
紋章学入門
[32]
서적
번역의 탄생
https://archive.org/[...]
교양인
2009-02-10
[33]
서적
A Complete Guide to heraldry
Orbis Publishing
1985
[34]
논문
중세 문장과 현대 심벌마크의 비교
2012
[35]
논문
중세 서양 문장과 문장과 문장복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1994
[36]
논문
중세 서양 문장과 문장과 문장복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1994
[37]
서적
Discovering Heraldry
Shire Publication Ltd
1992
[38]
백과사전
문장
http://preview.brita[...]
Encyclopaedia Britannica
2010-11-03
[39]
논문
중세 문장과 현대 심벌마크의 비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40]
논문
현대 서양복식에 표현된 중세 문장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복식
1999
[41]
논문
유럽 문장에 관한 연구
안동대학 논문집
1989
[42]
논문
중세 문장과 현대 심벌마크의 비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43]
논문
중세 문장과 현대 심벌마크의 비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